[노동과세계] 공공연대노조, “아이돌봄 근속수당 예산 반영하라”… 대통령실 앞 기자회견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6 조회
- 목록
본문
용산서 국가책임 강화·처우개선 촉구… “남는 예산, 필요한 돌봄에 써야”
공공연대노동조합이 13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아이돌봄 국가책임 강화와 아이돌보미 처우개선 예산 확대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공공연대노동조합은 13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아이돌봄 국가책임 강화 및 아이돌보미 처우개선 예산확대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영훈 공공연대노동조합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올해 상반기 부산·울산에서 부모가 일하러 나간 사이 화재로 아이들이 희생된 사건들이 있었다”며 “제도적 돌봄 장치가 있었다면 이런 사고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작년 여성가족부 아이돌봄 서비스 예산의 약 30%가 미집행됐다”며 “서비스를 원하는 사람은 많았지만 아이돌보미 배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예산이 남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1년에 채용하는 인원만큼이 퇴사하는 현실에서 근속에 대한 적정한 보상과 처우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이 일자리가 계속 떠나는 구조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영숙 아이돌봄 인천지부 지부장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글을 통해 “아이들이 저녁 늦게까지 학교에 남아 있는 것보다 집에서 평안하고 안전하게 지내는 것이 정서적으로 더 좋다”며 “하루 13시간을 학교에 있게 하는 제도는 아이들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어른들의 욕심”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올 4월 입법된 아이 돌봄 민간 등록제의 폐기와 아이 돌봄 이용료 무상화를 요구했다.
양경숙 아이돌봄 울산지부 지부장은 “더 이상 말로만 저출생을 논할 수 없다”며 “합산 출산율이 OECD 최하위인 현실에서 국가의 미비한 정책으로 소중한 생명을 지키지 못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1,200시간 아이돌봄 국가책임제를 즉각 실행하고, 충분한 예산을 투자해 돌봄 선생님을 체계적으로 교육·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연이은 사직으로 현장은 인력이 부족하다”며 “돌봄의 질을 높이고 처우를 개선하면 돌봄 공백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공연대노동조합은 8월 말까지 대통령실 앞 농성을 이어가며, 대통령실과 여당과의 면담을 통해 아이돌봄 근속수당 예산 반영을 관철하겠다는 계획이다.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