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전주시가 권역별 청소책임제를 전면 시행한 지 2개월이 지났지만 현장은 여전히 혼란스럽다. 쓰레기 수거 관련 민원이 계속되는 이유에 대해 노동자들은 인력 부족을, 시는 근무 태만을 주장하고 있다. 갑작스런 업무 변화로 노동자가 일하다 다치는 경우도 빈번하다.

전주시는 지난 8월1일부터 권역별 청소 책임제로 전환했다. 기존에는 종류별 수거방식이었다. 시 소속 청소노동자들이 거리 청소와 생활폐기물 수거·운반 등을 맡고, 민간위탁업체가 음식물쓰레기·재활용품·대형폐기물 등 종류별로 수거를 담당했다. 반면 권역별 수거는 권역을 나누고 한 업체가 담당 권역의 모든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이다. 민원에 대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겠다는 취지다. 시는 지난 1년간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한 뒤 올해 8월부터 전면 적용했다. 현재 12개 권역으로 나눠 4개 권역은 시가, 8개 권역은 위탁업체가 수거를 맡고 있다.

쓰레기 수거 관련 민원은 끊이지 않고 있다. 전주시청노조(위원장 송호영)는 현실에 맞지 않는 차량 및 인원 배치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노조에 따르면 시 소속 노동자들은 4개 권역에서 차량 63대로 201명이 일하고 있다. 현재 노조는 예비차를 포함해 47대 증차와 그에 맞는 증원을 요구하고 있다. 송호영 위원장은 “여름철 날씨와 업무 변경에 따른 혼선 등으로 민원이 많았는데 인력과 차량이 부족하니 민원 처리하느라 업무를 하지 못 해 또다시 민원이 발생하는 악순환에 빠졌다”며 “마른걸레 쥐어짜듯 일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권역별 청소 책임제 비용을 산정한 ‘원가산정용역’ 공개 여부를 두고도 갈등을 빚고 있다. 송 위원장은 “업무가 크게 바뀌면서 차량과 인원에 대한 데이터 산출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시는 원가산정용역을 공개하지 않고 노조에 증차를 위한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갑작스러운 업무 변화에 일하다 다치는 사례도 늘었다. 생활폐기물만 취급하던 시 소속 노동자들이 각종 쓰레기를 모두 담당하고 있다. 송 위원장은 “음식물 쓰레기통이 무거울 땐 120~140킬로그램까지 나가는데, 한 팀으로 움직이는 담당자 5명 중 3명이 허리디스크에 걸렸다”고 말했다. 최근 일하다 다쳐 손가락 봉합 수술을 받는 사례도 발생했다.

반면 시는 노동자들의 근무태만을 주장한다. 시 관계자는 “위탁업체와 비교해 10대 증차할 계획이고 지원인력이 40명 가까이 있어 증원 계획은 없다”며 “(청소노동자들이 수거하지 않으니) 청소지원과 공무원들이 나가서 수거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송 위원장은 “민원에 대한 구체적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근무태만만 주장하는 시 태도에 분개한다”며 “시가 말하는 지원인력은 원래 현장에 있었던 인력으로, 현장에서는 그만큼 인당 업무범위가 넓어졌다”고 반박했다.

 강석영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